• 경찰·포스코·하청업체,
    음주 부정청탁 혐의 고발
    노조 "포스코의 도덕적 타락 극심"
        2021년 02월 09일 03:15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지난해 11월 발생한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 사망사고 수사를 담당한 경찰 간부와 회사 관계자가 술자리를 가져 논란이 제기된 가운데, 포스코 노동자들은 음주 부정청탁 혐의로 이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포스코지회·포스코사내하청지회(노조)는 9일 오후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양경찰서, 포스코, 하청업체 담당자를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에 고발한다”며 “이를 통해 폭발사고로 돌아가신 노동자들의 정확한 사고원인 규명, 포스코의 근본적인 사후대책 수립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금속노조

    노조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광양제철소 폭발사고 수사를 담당한 광양경찰서 수사과장 최 모 경정은 포스코 대외협력팀 부장과 포스코 하청업체 임원과 한 식당에서 술자리를 가졌다. 수사 책임자가 수사 대상자가 술자리를 같이 한 셈이다. 비용은 하청업체 임원이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경찰청은 이와 관련해 지난 4일 감찰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최 경정은 안전관리 의무 준수와 업무상 과실 여부 등을 수사하는 책임자로 규정상 사건 관계인과 접촉이 금지돼 있음에도 포스코 대외협력팀 부장과 만난 사실을 소속 기관에 신고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11월 24일 벌어진 광양제철소 폭발사고로 노동자 3명이 사망했다. 1명은 포스코 노동자였고 나머지는 협력업체 노동자였다. 최 경정은 이 사고가 안전관리 미흡 등 포스코의 과실로 발생한 것인지에 대한 수사를 담당했다.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은 지난달 31일 광양제철소에 대한 산업안전보건 감독을 진행한 결과 위법사항이 700건이 넘었다고 발표했다. 폭발사고는 산소배관이 부식돼 생긴 이물질이 고압상태의 산소와 만나 발생한 것으로 확인했다.

    경찰은 현재까지 사고의 원인과 책임 등 조사 결과를 발표하지 않았다. 포스코도 재발방지 대책 등 사고에 대한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노조는 “이번 음주 부정청탁 의혹만이 아니라 납품업체 비리 의혹도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에 따르면, 한 납품업체가 품질 기준에 미달하는 제품을 포스코에 납품하기 위해 포스코 간부 등에게 각종 향응 제공 등 로비를 벌인 의혹이 제기됐다. 포스코 구매담당 직원이 납품업체에 80억원 규모의 플랜트 공사를 발주하는 대가로 10억원을 수수하고, 특정업체에 하도급을 주도록 요구한 혐의로 2019년 구속 기소된 사건도 있었다.

    이들은 “포스코는 지금 최정우 회장을 핵심으로 도덕적 타락이 극심한 상황”이라며 “비상경영을 선포해 노동자들은 연봉동결과 하청업체 인원감축을 지시하지만 임원진들은 수십 억원의 연봉을 챙겼고, 각종 납품비리는 멈추지 않고 있다. 결국 중대재해 폭발사고 수사책임자와의 술자리로 부정청탁 의혹을 받는 지경에까지 온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노동자와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불법과 비리의 핵심 최정우 회장의 구속 수사를 위해 강력한 실천을 전개할 것”이라며 “내달 포스코 정기주주총회에서 최정우 회장 연임 저지를 향해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