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존·공생의 '방울소리'
    [낭만파 농부] 새털구름이 가득하다
        2021년 01월 28일 09:05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딸랑 딸랑”

    등산화에 매달린 방울 소리가 참 청아하다.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딜 때마다 그 발길에 맞춰 가지런히 울리니 리듬감이 생기는 듯도 하고, 허공을 가르는 또렷한 소리파장 덕분에 잡생각이 달아나는 것도 같다. 이렇듯 방울 소리 들으며 뒷산 오솔길을 거닐어 온 지 이제 달포가 되어간다. 난데없이 어인 방울이냐고?

    누군가는 남명 조식을 떠올릴지 모르겠다. 퇴계 이황과 더불어 조선조 영남유학의 양대산맥을 이룬 산림처사. 대쪽 같은 기개와 지독한 자기절제로 유명했던 남명은 늘 깨어있는 삶을 살고자 품에는 경의검(敬義劍)이라는 장도를, 옷고름에는 성성자(惺惺子)라는 방울을 차고 다녔다 전해진다. 성성자는 걸을 때마다 그 소리를 들으며 스스로 경계하고 반성하려는 뜻이었다고 한다. 어찌 보면 방울소리가 그런 구실을 할 수도 있겠거니 싶다만, 나의 방울은 사실 그런 것이 아니었다.

    지난번에 얘기했듯이 달포 전 산행 길에서 멧돼지 떼를 만나 가슴을 쓸어내렸더랬다. 그 얘기를 이웃들에게 일러줬더니 그 가운데 방울을 해결책으로 권하는 이가 있었다. 멧돼지들은 귀가 밝아 멀리서도 방울소리를 듣고 지레 먼저 피한다는 얘기였다. 하긴 아무리 집채만 한 멧돼지라도 낯선 문명의 소리를 감당하긴 어렵겠지 싶어 바로 실행에 옮겼는데 그 뒤론 여적 멧돼지와 마주치지 않은 걸 보면 확실히 효험이 있는 듯 싶다.

    그런데 야릇한 것이 시간이 흐를수록 이 방울이 성성자 효과를 내고 있다는 거다. 처음엔 낯선 딸랑거림이 무척이나 귀에 거슬렸더랬다. 하지만 그 소리가 차차 귀에 익고 리듬감까지 생기고 나서부터는 되레 울타리 또는 균형자 노릇을 하더라는 얘기다. 물론 산행 중 사색의 울타리요 성찰의 균형자를 뜻함이다. 잡생각이 떠오르고 무질서하게 생각이 흐트러질라 치면 울리는 경종이랄까.

    이래저래 속 시끄러운 시절이다. 팬데믹으로 몇 달 째 몸뚱이가 묶여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네, 5인 이상 집합금지 명령이네 하여 나 같은 농한기 농사꾼들은 하릴없이 고립무원을 벗어나지 못하는 신세다. 할 일을 못하는 게 가장 크다. 우리 벼농사두레는 이 와중에 속절없이 시간만 흘려보내고 있다. 송년모임을 건너뛴 거야 그렇다 치고, 새해 첫머리에 바닷바람 쐬며 한 해를 구상하던 연찬모임(엠티)도 결국 떠나지 못했다. 휴지기를 배움과 토론으로 채우던, 여느 해 같으면 지금 한창 열기를 내뿜고 있을 <농한기강좌>도 열지 못했다. 이러다가는 이태 째 정기총회마저 기약할 수 없는 처지다. 그 생동감 넘치는 얘깃거리가 사라진 것도 커다란 아쉬움 중의 하나다.

    어쨌거나 기나긴 침잠. 가라앉으면 생각이 많아지고 깊어지는 모양이다. 어찌 보면 병통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살아온 날은 갈수록 아득해지고 남은 날, 적멸은 가까워오니 어쩌면 갈 길 바쁜 처지다. 이제 삶의 본질, 궁극의 가치를 성찰하기에도 빠듯한 세월이다. 스러질 시간이 멀지 않았으니 세계와 삶의 이치를 온전히 깨닫고자 하는 조바심이랄까.

    그러나 사바세계의 질긴 인연과 모진 현실은 이 하찮은 탐구욕마저 허락하지 않는 모양이다. 나무는 가만있으려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듯 말이다. 무엇보다 정치 현안을 둘러싼 진영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으면서 이 사회 거의 전부를 빨아들이지 않았던가. 그 진영에서 벗어난 지 오래인 나로서는 이 상황이 몹시도 거북하다.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라는 명제가 아니라도 삶이란 정치와 떼어놓을 수 없고, 저마다 첫손에 꼽는 가치임을 어찌 부정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생망’, 투쟁현장에서 지난 반평생을 보내오면서 나는 내 정치적 지향이 가망 없는 초현실임을, 아무리 버둥거려도 이번 생애에서는 이룰 수 없는 것임을 깨달았던 터다. 그리하여 손을 털고, 마음을 털었더랬다. 그런데 왜. 아직도 미련이 남아서?

    아무리 초탈하려 해도 아직 선계에 들지 못하고 속계에 발 딛고 있으니 어쩔 수 없는 점이 있다. 함께 부대끼는 사람들, ‘동료시민’을 모른 체 할 수 없는 일이고 나 또한 투명인간일 수 없기 때문이다. 먼저 나서 입방아 찧을 일은 아니로되 울안에 떠오른 다른 목소리까지 모른 체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내 속을 버선목처럼 뒤집어 보일 수밖에. 설령 삼수갑산에 가는 한이 있더라도 어쩔 수 없는 거다. 어차피 ‘이생망’ 아니던가.

    방울소리는 멧돼지에게 저희들 말고 다른 목숨붙이가 존재함을 알리는 신호다. 그 개체를 들이박아 해치는 대신 거리를 두고 공생하자는 신호. 총포 따위로 목숨을 거두는 대신에 평화롭게 공존하겠다는 신호. 세상살이란 게, 정치라는 게 ‘너 죽고 나 살자’고 달려들 일은 아니지 않는가 이 말이다. 하나의 울림이 그대로 존중되는 가운데 또 다른 울림을 불러 끝없이 울려 퍼지는 세상은 정녕 헛된 꿈이런가.

    산행길에 올려다본 하늘이 새털구름으로 가득하다. 문득 새털처럼 가볍게 살 순 없을까 싶어진다.

    필자소개
    시골농부, 전 민주노총 편집국장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