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는 문화부, SBS는 게임산업개발원
    By
        2006년 08월 24일 11:32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사행성 오락사업 파문을 두고 책임 공방이 뜨겁다. 23일 방송뉴스를 보면 각 사마다 조금씩 주 타깃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나라당은 이번 사건을 ‘권력형 게이트’로 규정짓고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있지만 드러나는 ‘사실’은 방송 뉴스에서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김정길 대한체육회장의 동생이 부산지역 모 성인오락실 실제 소유주라는 보도 정도다.

       
      ▲ 8월23일 KBS <뉴스9>  
     

    KBS, 문화부 ‘연타’…"부실해명이 의혹 키운다"

    23일 저녁 메인뉴스 가운데 KBS의 ‘문화부 책임론’ 보도가 가장 눈길을 끈다. KBS는 <‘상품권 폐지’…업주들 집단 반발> <문화부, ‘부실 해명’ 속 키워진 의혹> <판키우는 자동게임, 문화부가 면죄부?> 등 연속 3건의 보도로 문화부를 비판했다.

    KBS는 <‘상품권 폐지’…업주들 집단 반발>에서 문화부 방침에 대해 업주들이 "문화부의 게임 등급 재분류 방침에 대해서도 허가할 땐 언제고 다시 불법으로 모느냐며 반발하고 있다"며 정부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KBS는 이어 <문화부, ‘부실 해명’ 속 키워진 의혹>에서는 "문화부 장관은 사행성 게임 파문에 대한 책임론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지만만 부실한 해명으로 오히려 의혹을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KBS는 이 리포트에서 김명곤 문화부 장관이 "(지난해 7월 상품권 지정제 도입 당시) 3군데 법률사무소에 자문을 구했는데 그 중 2군데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1군데는 좀 더 신중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한 데 대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는 의견서 2건은 지난해가 아니라, 이미 사행성 게임이 확산될 데로 된 올해 6월과 7월에 제출된 것"이라고 정정했다.

    문화부에 대한 책임 추궁은 한 리포트 더 이어졌다. KBS는 <판키우는 자동게임, 문화부가 면죄부?>에서 "문제의 바다이야기가 거액이 오가는 도박게임이 된 데는 문화부의 책임이 컸던 것으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며 "한 사람이 여러 대를 동시에 이용하는 자동진행이나 연속진행과 같이 판을 키우는 변칙 기능에 대해 문화부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영등위는 사행성을 높이는 이런 연속진행, 자동진행을 금지해 달라고 문화부에 요구했으나 문화부는 연속진행, 자동진행을 금지하는 규정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문화부는 연속진행의 문제점을 뒤늦게 파악해 삭제요구를 철회했다는 입장이다.

    SBS ‘게임산업개발원’ 주목…이사회 회의록 입수해 보도

       
      ▲ 8월23일 SBS <8뉴스>  
     

    SBS는 한국게임산업개발원에 주목했다. <게임산업개발원, "업체 선정 문제 있다" 지적 묵살>에서 SBS는 "허위 서류를 제출한 회사들이 상품권 발행업체가 돼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게임산업개발원측이 이를 묵살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SBS는 게임산업개발원이 지난해 7월 상품권 업체를 처음으로 지정하기 직전에 열린 이사회 회의록을 단독 입수해 이 같이 보도했다. SBS는 이사들의 발언을 하나하나 소개하며 지정업체의 자격, 사행성에 대한 우려, 시행시간이 촉박하다는 문제 등이 제기됐지만 우종식 원장과 서모 본부장이 이를 묵살했다고 지적했다.

    SBS는 이어진 리포트 <상품권업체 대표가 게임개발원 이사…특혜 의혹>과 <게임산업개발원, 상품권 위·변조 ‘나몰라라’>에서도 게임산업개발원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파헤쳤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