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안언론마저 자본 나팔수 된 거 아닌가"
    By tathata
        2006년 08월 12일 09:50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한국언론정보학회는 11일 2시 프레스센터 12층 언론재단 교육센터에서 포스코 사태에서 본 권-경-언 유착의 문제점과 대책에 대한 토론회를 열었다.

    정연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선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가 포스코 사태와 관련 뉴스프레임을 분석한 내용을 발표했다. 토론자로는 권영국 민변 노동위원회 부위원장, 김유진 민주언론시민연합 협동사무처장, 노중기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 송용회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이진로 영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정연우 교수는 포스코 사태 관련 언론의 프레임을 사건 중심, 법과 질서, 지배적 이데올로기로 구분한 뒤 사건 중심 보도의 경우 노조의 요구 사항이나 발단, 사건의 근본적 배경은 외면했다고 밝혔다. 또 법과 질서를 어기는 노조를 언급하고 질서 준수를 해결하려는 정부와 사용자를 대비시켰고, 국익을 해치고 경제를 망치는 집단과 경제를 살리고 국익에 기여하는 집단으로 대립시켜 결국 노조의 정당성을 약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노암 촘스키의 선전모델처럼 언론이 국가-기업 연합체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아니냐고 물은 뒤 ▲삼성의 인맥 등을 상기시키고 언론 집단이 파워엘리트 집단과의 담합적 네트워크 구축 ▲물적 기반인 광고주의 관점과 이해 반영 ▲뉴스 정보원인 정부와 기업의 각종 연구소 자료 사용 ▲불리한 보도 등에 대한 기업의 다양한 압력 ▲미국적 가치와 모델을 이상적인 것으로 삼는 시장 중심적 관점 등을 통해 언론의 뉴스프레임이 통제된다고 설명했다.

    토론에서는 진보진영내의 의제 설정력 문제와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계속해서 이익을 가져가는 시스템 등에 대한 다양한 토론이 이어졌다.

    먼저 권영국 변호사는 “80년초 전두환 정권 때 학생들의 시위가 1단으로 처리됐어도 너무나 반가워 그 행간을 읽으려 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며 “과거 언론의 문제점 등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안 언론을 만들었지만 이미 그런 것이 자본의 앞잡이가 되어 버린 것이 아니냐”고 비판했다.

    권 변호사는 이어 “불법적인 대체 인력 등 문제는 언론에서 찾아 볼 수 없고 남의 집에 왜 들어갔느냐는 식으로 현실을 재구성했다”며 “기자들 역시 지배집단에 들어간 순간 노동자 문제보다는 포스코의 수출 등에 더 관심을 갖지 않느냐”고 말했다.

    노중기 한신대 교수는 기존 언론 내부의 자정운동 등으로는 지금 일어나는 문제를 바꿀 수 없다며 정치, 노동, 정당, 지역 운동 등의 외부 운동들과 함께 변화시켜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 교수는 “지난 20년 동안 언론내부에서 바뀐 것이 없는 것이 사실이 아니냐”며 “소유의 사회적 통제, 편집권 독립 등 같은 이야기를 매번 되풀이하는 것은 사실 서로가 알리바이만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유진 민언련 협동사무처장은 “그동안 진보진영에서 제대로된 프레임을 만들었는지 고민해야 한다”며 “DJ때 대북 퍼주기, 부동산 문제에 대해 세금 폭탄, 코드 인사 등 많은 프레임 등이 제기됐지만 진보진영측에서는 수구꼴통식 비난, 딴나라 알바, 조중동 등 본질에서 벗어난 자극적인 프레임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송용회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는 노동자들 역시 자기 관련 보도에 대해서는 비난을 하다가도 다른 노동자들의 문제들은 그냥 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조선과 중앙이 장사가 되고 돈을 벌고 있는 상황에서 논조를 바꿀 만한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 아니냐”며 “무조건 언론과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하려 하지 말고 언론이 프레임을 바꾸는 방법을 심각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는 특히 “IMF 이후 기자들은 더욱 자사이기주의에 빠져 들면서 더욱 조직화되고 있으며 사실상 사주가 기자 자격증을 내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이진로 영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조선, 동아, 한겨레, 경향의 포스코 관련 사설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교수는 조선과 동아의 사설의 경우 건설노동자가 포스코 점거를 풀기 전에 많이 보도가 됐고 노조 기사의 대부분이 불법에 초점을 맞췄고, 점거 이후에는 철저히 외면했고, 경향과 한겨레는 포스코 중재를 촉구하거나 하도급 문제, 사망한 노동자의 억울함 등을 전했다고 설명했다.

    필자소개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