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일보 '최초보도' 밝힌 곳은?
    By
        2006년 07월 25일 09:37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논문 도덕성 논란은 24일에 이어 25일자에도 계속됐다. 국제분쟁 전문기자인 정문태 기자는 베이루트 현지에 도착해 한겨레에 르포기사를 보냈다. 다음은 25일자 전국단위 종합일간지의 1면 머리기사.

    경향신문 <"미·일 주도 경제제재 북핵포기 유도 한계">
    국민일보 <김 부총리 ‘제자자료 수집’ 숨겨>
    동아일보 <‘불안한 개성길’>
    서울신문 <사투리의 ‘반란’ 대중문화 품다>
    세계일보 <"중 은행도 북 계좌 동결">
    조선일보 <‘중국은행’ 북한계좌 동결>
    중앙일보 <5월 중국 선양 미 대사관 진입 탈북자 3명/중국, 미국 직행 첫 허용>
    한겨레 <14개 미군기지 환경오염 실태 또 드러나/기름오염, 공장터 4배 초과도>
    한국일보 <중 탈북자 첫 직접 미국행>

    국민 "김병준, 제자자료 수집 숨겨"…한겨레, 국민일보 최초 보도 밝혀

    국민일보가 24일에 이어 25일자에서도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논문과 관련해 도덕성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국민일보는 1면 머리기사 <김 부총리 ‘제자자료 수집’ 숨겨>에서 "김병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표절 의혹을 받고 있는 논문을 1988년 2월 발행된 국민대 논문집 ‘법정논총’에 기고할 당시 제자 신모씨가 자료를 수집했음을 감춘 사실이 24일 새롭게 드러났다"며 "제자의 자료 수집 사실을 의도적으로 빼 자료의 출처를 감춘 것은 명백한 표절로 해석되기 때문에 김 부총리에 대한 도덕성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 국민일보 7월25일자 1면.
     

    국민일보는 "1988년 6월 한국행정학보에 실린 (김 부총리의) 논문 각주 3에서는 ‘서베이 데이터는 상명여대 신모 교수에 의해 수집된 것이다. 데이터의 사용을 흔쾌히 승락해 준 신 교수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당시 교수가 아니었던 신씨를 교수로 표현한 것도 이상하다"며 "그러나 이보다 4개월 빨리 발표된 그 해 2월 법정논총 논문에서는 ‘신씨가 서베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을 승락해 감사드린다’는 내용의 말이 빠져 있다. 조사를 진행한 대학생 숫자도 12명이 아닌 13명"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일보는 "또 김 부총리의 자료 수집 은폐는 제자 신씨의 박사학위 논문 통과시점과도 맞물려 더욱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며 "김 부총리는 제자의 박사학위 논문이 갓 통과됐을 때는 자료수집 사실을 숨겼다가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된 뒤 4개월 뒤에야 신씨 자료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25일자 종합일간지들은 김 부총리의 논문 논란을 앞다퉈 전한 가운데 이 논란을 24일 최초로 보도한 곳이 국민일보라는 사실을 밝힌 신문은 한겨레가 유일하다. 대부분 최초보도를 표기하지 않았으며, 한 신문은 ’24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이라고 궁색한 인용을 하기도 했다.

    한국 "참여정부 각료, 영·호남 역대최고"-조선 "청와대 절반은 PK"

    한국일보는 1면 기사 <참여정부 전·현각료 64명 출신지역 영·호남이 62.5% ‘역대 최고’>에서 "참여정부 전ㆍ현직 각료의 출신 지역을 분석한 결과 영남과 호남 출신 간의 불균형은 상당 부분 시정됐으나, 영남과 호남 출신을 합친 비율이 역대 어느 정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 한국일보 7월25일자 1면.
     

    한국일보는 "본보가 2003년 2월 참여정부 출범 이후 지난 주까지 임명된 총리와 장관 등 각료 64명의 출신 지역을 분석한 결과 영남(34.4%)과 호남 지역(28.1%) 출신이 62.5%에 달했다. 부산ㆍ경남(PK)과 대구ㆍ경북(TK) 출신이 각각 11명(17.2% )이었고, 호남은 18명"이라며 "이승만 정부 이후 역대 정권에서 영ㆍ호남 출신 각료 비율이 60%를 넘은 것은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조선일보는 6면 기사 <임기 말 청와대 ‘짙어지는 PK색’>에서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5·31 지방선거 직전, 부산지역 기자들과 만나 ‘이 정권은 PK(부산·경남) 정권인데 왜 몰라주느냐’고 말한 일이 있다. 문 전 수석의 말처럼, 정권 말로 접어들면서 이런 특성이 더 짙어지고 있다. 이 지역 출신 비서관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 조선일보 7월25일자 6면.
     

    조선일보는 "현재 대통령직속위원회의 위원장·비서관을 제외한 청와대 비서실 내 수석 및 비서관은 모두 58명. 이 중 부산·경남 출신은 15명 정도…PK 출신이 ‘청와대의 절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라며 "주목할 만한 것은 최근 들어 이 지역 출신 기용이 더 늘고 있다는 점이다…이 같은 현상은 정권 말로 가면서 인재풀(pool)이 현저히 줄어든 결과라는 분석이 많다"고 전했다.

    한겨레 정문태 기자 "테러리스트는 어디에 있는가?"

    국제분쟁 전문기자인 정문태 <한겨레21> 아시아네트워크 팀장이 23일밤(현지시각) 베이루트에 도착해 르포기사를 보냈다. 한겨레는 1면에 정 기자의 기사 <폭격에 질린 베이루트 ‘공포의 밤’>을 담았다.

       
    ▲ 한겨레 25일자 1면
     

    "시리아 국경 검문소 알즈데덴을 지날 즈음, 에후드 올메르트 이스라엘 총리 말이 라디오 잡음을 타고 흘렀다. ‘침략이 아니다. ‘테러리스트’ 헤즈볼라의 거점을 궤멸시키기 위한 한시적 점령이다!’ 7월22일, 이스라엘 지상군이 레바논 남동부 마룬 알라스를 점령한 뒤였다. 24년 전 1982년 6월21일, ‘테러리스트’ 팔레스타인 박멸을 내걸고 레바논을 침략했던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총리도 똑같이 말했다. ‘침략 아니다. 레바논을 점령하거나 합병할 뜻이 없기 때문에!’ 그러나, ‘테러리스트’는 없었다. 레바논 국경검문소 마스나아를 통해 시리아 쪽으로 쏟아져나오는 이들은 피란민들일 뿐이었다."

    "24년 전, 이스라엘군으로부터 당한 그 학살의 기억을 안은 구급차 사이렌이 다시 2006년 7월23일 밤을 내달렸다. 베이루트는 숨이 넘어가고 있다. 이 기사를 쓰고 있는 동안에도 베이루트는 폭음에 흔들리고 있다. ‘철수할 의지를 지닌 공격은 침략이 아니다!’ 1982년 7월9일치 이스라엘 극우신문 <에디엇 아로놋>이 베이루트 침략에 광분했듯이, 2006년 7월23일 오늘 이스라엘 신문 <아루츠 쉬바>는 ‘이스라엘은 유대의 땅을 모두 지배해야 한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반드시 공격해야 한다’고 확전 나팔을 불어댄다. 베이루트, 공포에 질린 도시는 묻고 있다. ‘테러리스트’는 어디에 있는가?"

    미디어오늘 김종화 기자 ( sdpress@mediatoday.co.kr)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