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돈 침대 불안감 확산,
    제품 직접 다루는 노동자 위험은 더 커
    김철주 “연관된 모든 시민·노동자 건강진단 실시해야”
        2018년 05월 24일 01:02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대진침대에서 검출된 발암물집 라돈으로 인해 국내 유통된 음이온 제품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라돈 제품을 취급하는 등 이 물질에 직접 노출되는 노동자의 건강이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철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환경노동위원장(직업환경의학 의사)은 24일 오전 MBC 라디오 ‘이범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이번 원자력안전위의 2차 조사를 보면, (라돈이 검출된 침대에서) 나온 방사선량이 (연간 피폭 기준치의 9배가 넘는) 최대 9.35mSv가 나왔다”며 “작업장에선 이보다 더 높게 나올 수 있다고 가정하면. 5년간 작업장에서 라돈에 노출되면 폐암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철주 위원장은 “작업장의 위치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다”면서 “더 정확히 하려면 실제 측정을 해서 라돈의 농도가 어떻게 나오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라돈 논란으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지만 이 물질을 다루는 작업장에 대한 실태조사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방사능 물질에 대한 관리 소관이 원안위에 있어 제품에 대한 조사만 진행된 것이다.

    김 위원장은 “만약 라돈이 노동부 관할의 유해물질이었다면 작업장에서 전수조사인 작업환경측정조사를 시행했을 것”이라며 “그렇게 됐다면 이런 사태가 발생할 확률이 훨씬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거듭 “앞으로 이런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 위해서 방사성물질의 관리주체 변경까지 포함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돈에 노출된 노동자와 시민에 대한 전수조사의 필요성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 위원장은 “모든 모자나이트 가공품과 그것을 만드는 사업장까지 라돈 측정을 하고 연관된 노동자와 시민들의 임시 건강진단을 시행해야 한다”며 “또한 그들을 끝까지 관찰해서 그들에게서 폐암이 발생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재 이 사안을 다루고 있는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를 원안위와 환경부, 노동부, 시민단체까지 포함시켜 인력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