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의 비리 등 논란,
    국민 10명 중 8명 “심각”
    금융정의연대 의뢰 여론조사 결과
        2017년 11월 20일 05:02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우리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은행 등 금융권에서 벌어진 인사, 비리 등 각종 논란에 대해 심각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순실의 하나은행 인사개입 문제와 관련해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답변도 70%에 육박했다.

    20일 금융정의연대가 창립 4주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한 전 국민 여론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BBK 주가 조작과 키코 피해, 직원 채용 비리, 인사청탁 등 금융권 관련 논란에 대해 ‘심각하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전체의 86.1%로 집계됐다.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8.7%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5.2%.

    연령대별로 보면 ‘심각하다’는 응답이 전 연령대에서 다수였고 특히 30대와 50대에서는 각각 91.5% 91.2%로 많았다. 상대적으로 ‘심각하다’는 응답이 적었던 60세 이상에서도 79.7%로 많았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은행 등 금융권과 공공기관의 인사 채용비리를 발본색원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동의하는지를 물어본 결과에서도 전체의 83.9%가 ‘동의한다’고 답했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3.2%였다. ‘잘 모르겠다’는 3.0%.

    ‘동의한다’는 응답은 낮은 연령대에서 더 많았다. 19~29세 92.3%, 30대 92.1%였고 60세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동의한다’가 65.4%로 다수였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순실 씨의 하나은행 인사 개입과 관련해서도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물러나야 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69.1%는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책임이 아니므로 물러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17.9%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13.0%.

    연령대별로 보면 ‘물러나야 한다’는 응답은 60세 이상 연령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70% 이상이었고, 60세 이상에서도 57.3%로 과반수가 ‘물러나야 한다’고 봤다.

    아울러 최근 은행 등 금융권의 비리 논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별도의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이에 대해 동의하는지를 설문한 결과, ‘동의한다’는 응답이 70.2%,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5.0%였다. ‘잘 모르겠다’는 4.9%.

    한편 은행 등 금융권의 공공적 역할에 대해선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가 50.5%,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38.4%로 집계됐다. ‘잘 모른다’는 11.1%.

    정부의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가계부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해선 46.9%가 ‘도움 될 것’이라고 봤고, ‘도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45.8%로 나타나 의견이 팽팽히 갈렸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7.3%.

    정부가 장기부실채권을 무상 소각해 채무자의 빚을 탕감해 주는 방안에 대해선 ‘채무에 대한 도덕적 해이가 될 수 있으므로 반대한다’는 응답이 57.2%로 우세했다. 반면 ‘실제로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을 구제하는 것이므로 찬성한다’는 응답은 40.9%으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1.9%.

    해당 질문에 대해선 모든 연령대에서 ‘반대’가 절반을 넘어서 우세했다. 특히 연령이 높아질수록 반대 응답이 많았는데, 19~29세에서는 50.3%가 반대한 반면 6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64.3%가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이번 금융 관련 국민 여론조사는 금융정의연대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실시,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11월 12~13일 이틀간 유무선 RDD(유선 50.1% 무선 49.8%)를 이용해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최대 허용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6.7%(총 14,893명과 통화하여 그 중 1,005명 응답 완료, 유선 5.4%, 무선 8.9%)였다. 조사완료 표본 수는 1,005명이며 2017년 10월 말 기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 지역, 연령별 가중치를 적용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