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에서 배운 자유로움
    [책소개] 《공부는 이쯤에서 마치는 거로 한다》(한창훈/ 한겨레출판)
        2017년 01월 08일 01:28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문학이고 지랄이고, 우리 머리 위에는 푸른 하늘만 있다

    “자유로운 영혼. 이거 멋지지 않은가. 위정자들은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자들을 무서워한다. 그들이 무서워할 젊은 영혼이 많은 것, 그게 정상적인 국가이다. 그러니 좆도, 산다이 하면서 놀자. 놀아도 내일은 또 오더라.”

    소설가 한창훈의 에세이 《공부는 이쯤에서 마치는 거로 한다》가 출간되었다. 2015년 5월부터 2016년 7월까지 〈한겨레21〉에 연재한 〈한창훈의 산다이〉를 정리해서 묶었다. ‘산다이’는 거문도 방언으로 축제,여흥이란 뜻이다. 그러니까 이 책은 ‘한창훈식 노는 법’에서 나왔다.

    작가는 불안에 떨며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쫓기듯 놀지 말라고, 쪽방에 갇혀 시험 준비만 하며 시간을 흘려보내지 말라고, 맑은 날씨를 즐기며 행복해지자고, 느닷없이 어울리자고, 아프니까 청춘이 아니고 덤비니까 청춘이라고 말한다. 바다와 섬을 배경으로, 섬사람들과 작가 자신이 겪은 인생의 편린들을 스물여덟 꼭지의 글에 조금씩 나누어 적으면서 말이다.

    작가 한창훈의 삶과 사람, 바다가 궁금했던 이들이라면 이 책이 딱 알맞다. 그 모든 게 오롯이 담겨 있으니까. 스물여덟 꼭지의 글은 모두 펄떡이는 생선처럼 종이 위에서 살아 있다. 거칠지만 우직한 파도처럼, 가난해도 온전하게 살려고 애쓰는, 철학자가 쓴 어려운 책에서 배운 게 아닌 생활에서 이미 배운 자유로움이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가득하다.

    작가가 늘 메고 다니는 흙색 바랑처럼 군더더기 하나 없다. 배 한 척 끌고 가듯 책 한 권 들고 나가 지친 가슴에 작가가 풀어놓은 문장들을 ‘마이구리(물고기 따위를 많이 잡아 가득히 싣는 것)’ 하기만 하면 된다. 좆도, 하고 한번 내지르고, 산다이 하면서 읽으면 된다. 내일은 또 올 거고, 그 내일도 오늘처럼 우리가 만들 테니까.

    공부는 이쯤에서

    아아, 우리에겐 이렇게 멋진 아저씨도 있다

    “존 레넌은 이미 노래했다. “우리 머리 위에는 푸른 하늘만 있다.” 그렇기에 어느 누구도 어느 누구보다 높지 않다.“

    토요일이면 노란 리본을 달고 광장에 나가는 것 말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이들에게 어떻게 책을 읽으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이 에세이는 조금 다르다. “이럴 땐 문학이고 지랄이고 방법 하나밖에 없다”며 웃지도 않는 학생들을 앞에 두고 꺼내야 했던 말들로부터 출발했으니까.

    광주에서 고등학교를 다니고, 2학년 때 5·18을 겪으며 사람들이 총 맞고 죽어나가는 모습을 보고 술과 담배를 시작했던, ‘공부는 이쯤에서 마치는 거로 한다’고 홀로 선언해야 했던 작가 자신의 이야기에서 시작했으니까. 그렇다고 고생담이 영웅담이 되고야 마는 보통 꼰대 아저씨의 글이 아니다. 어떤 사람이 되라고는 말 못 한다 각자의 인생이 있으니까, 학생들에게 우선 사과부터 하고 싶다, 워낙 살기 힘든 시기지만 이 거대한 외로움을 한 개인에게 통째로 짐 지우지 말자고 말하는, 술이 아니라 ‘솔로인solo人데이’를 권하는 꼰대 아저씨 본 적 있나? 한창훈이란 작가는, 아니 이 아저씨는 진짜 좀 멋있다. 우리 머리 위에는 푸른 하늘만 있어야 하듯, 우리 머리 아래에도 이런 아저씨들이 좀 있어야 하는 것 아닐까?

    바다에 대한 오해를 풀어주고 싶다

    한창훈은 바다의 표정과 바다의 기분을 볼 수 있는 작가다. 날마다 바다를 바라보고, 비가 오면 비가 오는 바다를 바라보고, 노을이 지면 노을이 지는 바다를 바라보니까. 작가에게 바다는 통째로 화장실이기도 하고, 할머니의 삶이 담긴 곳이기도 하다. 그저 푸르고 거대한 한일자이기도 하다. 낚시를 하기 위해 배를 타고 나가 바다와 일대일로 대면하기도 하고, 바다를 바라보면서 마음을 가라앉히기도 한다.

    무히카 전 우루과이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필요한 것 중 없어선 안 될 가장 중요한 게 또한 바다다. 그에게 여름 바다는 세상에서 가장 ‘슬픈 산다이’이며, 여름과 겨울이 길어지면서 가을 바다는 그저 보는 것만으로도 반갑고 고마운 가장 아름다운 바다다. 겨울 바다는 존재에 대해 끙끙 앓는 시공간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언젠가부터 봄 바다는 오해를 풀어주고 싶은 바다가 되었다.

    “미워해야 할 대상은 바다가 아니라 그런 사고를 내고 먼저 도망가버린, 말도 안 되는 짓거리를 뒷수습이라고 한, 아직도 무언가를 숨기고 있는, 피해자들을 이간질하는 것도 모자라 악랄하게 공격하고 있는, 같은 시대 같은 공간 속의 어떤 사람들이니까.”

    작가는 말한다. 바다란 처음부터 그 자리에서 그 모습으로 출렁이고 있는 존재니까 두려운 곳이 아니라 우리가 기댈 수밖에 없는 장소이자 보듬어야 할 대상이라고. 어떤 사람이 되라고는 말 못 한다, 타인에게 평생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주는 그런 사람만큼은 되지 말라고 당부하면서.

    그리고 작가는 결국 그 당부가 부끄럽지 않도록 지난(2016년) 12월 10일 일을 벌였다. “‘바다가 육지라면’ 걸어서 가겠지만 바다가 육지가 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부디 바라건대 바닷가 앞에 차벽을 세워 우리의 행진을 강제로 막아주면 고맙겠다”는 말과 함께 검푸른 바닷물이 넘실대는 거문도 바다에 섬사람들과 힘을 모아 배를 띄우고 해상 촛불집회인 어선 퍼레이드를 벌였다. 바다를 위해서, 아이들을 위해서. 새로운 세상을 위해서.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