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사회당' 당명,
    정의당 당원총투표 부쳐
    임시당대회 열어 당명개정 등 다뤄
        2016년 09월 25일 10:58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정의당의 새 당명 최종후보로 <민주사회당>이 25일 채택됐다. 내달 6일부터 시작되는 당원총투표를 통해 찬반을 물어 새 당명을 수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찬성 의견이 많을 경우 정의당은 민주사회당으로 당명을 개정하게 된다.

    정의당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제3기 2차 당대회를 개최했다. 주요 안건은 당명 개정의 건이었다. 이미 당 온라인 게시판 추천으로 축약된 사회민주당, 평등사회당, (다시)정의당, 사회민주노동당, 민주사회당 (추천수 순) 등 5개의 당명 후보를 당대회 표결을 통해 하나의 후보로 압축하는 결정이었다.

    1

    정의당 당대회(사진=유하라)

    1차 투표 결과 사회민주당이 71표, 평등사회당 27표, (다시)정의당 66표, 사회민주노동당 28표, 민주사회당이 122표를 얻었다. 과반수 득표 당명이 없어 표결에 따른 1, 2위 당명인 민주사회당과 사회민주당에 대한 2차 투표를 진행해 민주사회당 201표, 사회민주당 101표를 얻어 민주사회당이 당원총투표에 붙일 새 당명 후보로 선정됐다.

    당초 기존 당명인 정의당을 유지하자는 당원들의 요구가 적지 않았던 것으로 예상됐으나, 표결에선 큰 호응을 얻진 못했다. 정의당 관계자에 따르면 당 지도부를 비롯한 의원단에서도 ‘(다시)정의당’에 대해선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원총투표 결과는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표결 결과를 보면 (다시)정의당에 표를 던진 대의원도 최종 표결에선 ‘민주사회당’을 선택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해석되지만, 조직되지 않은 일반 당원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표결 결과를 보면, ‘(다시)정의당’에 표를 던진 대의원 일부도 최종표결에선 ‘민주사회당’으로 표를 행사한 것으로 보여 특별한 경우가 있지 않는 이상 민주사회당이 잠정 확정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표결 전 당명 개정의 건과 관련해 1차 투표 결과 1, 2, 3위까지 득표 당명을 선정해 결선투표 포함한 방식으로 총투표에 부의하자는 백선민 대의원의 추가 발의안이 논의되기도 했으나, 압도적인 반대로 (재석 342명, 찬성 73표, 반대 255표) 부결됐다. 이에 더해 해당 추가 발의안 중 1, 2위를 표결로 정하고 3번째 당명 후보에 정의당을 포함하자는 의견도 나왔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명 개정 여부가 아닌, 그 방식과 새당명 후보를 정하는 등의 원안과는 완전 취지를 벗겨난 제안이기 때문이다.

    당명개정위원회 위원장인 나경채 공동대표는 “현재 다루고 있는 안은 지난해 대의원대회에서 당명을 개정하기로 하고 구체적 방식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며 “정의당도 총투표를 통해 선택해달라는 것은 당명을 바꾸지 말자는 것이기 때문에 수정된 의견이 아니라 견해 전반에 대한 반대 의견”이라며 반대했다.

    여영국 의장 또한 “수정안 성격은 원안을 훼손하지 않는 한에 가능하다”며 “(정의당을 후보에 포함하자는 안은) 원안을 완전히 변경한 것이라 각하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민주사회당>이라는 새당명 개정과 관련한 당원총투표는 내달 6일부터 11일까지 온라인(6~9일), 현장 투표(10일), ARS(11일)까지 이뤄지며 개표 및 당명 발표는 12일에 예정돼있다.

    이날 정의당의 당명 개정은 지난해 말 당시 정의당, 진보결집+, 국민모임, 노동정치연대의 통합 과정에서의 합의였다.(“총선까지 정의당 당명 유지, 총선 후 6개월 내 당명 개정”) 또한 정의당의 지지 기반을 확장하고 진보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을 명확히 정립하는 것이 시급하고 필요한 과제라는 지적들도 적지 않았다. 실제로 20대 총선 직후에 열린 정의당 의원단 초청 강연회에서 최장집 교수도 “현재 정의당이 직면하고 있는 핵심문제는 정체성의 문제”라며 “정의당이 야권의 두 주류정당과는 사이즈가 다를 뿐 진보정당으로 그 자체의 특징과 역할을 보여주지 못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정체성의 상실이 그 핵심”이라고 지적한 바도 있다.

    메갈리아 논란, 더 이상 쟁점화 아닌 대책 마련이 우선
    심상정의 제한적 기본소득제, ‘기본적인 소득 보장’으로 수정

    이날 당대회의 또 다른 쟁점은 메갈리아 및 여성주의 논란 관련 특별결의문 채택의 건이었다. 배준호 부대표 등이 제출한 특별결의문에서 가장 논란이 된 것은 ‘정의당은 혐오에 대항한다는 이유로 또 다른 혐오를 만들어내는 문화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사실상 메갈리아에 관해 반대한다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지난 전국위원회의 특별결의문에 맞서는 결의문으로 읽힌다. 일부 대의원 사이에서도 이 같은 내용의 질문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이 특별결의문을 대표 발의했던 배준호 청년부대표는 이날 결의문이 지난 전국위원회의 결의문과 대치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당대회에 참석한 당 내 관계자는 젠더TF 또한 ‘전국위 결의문의 반대급부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해당 특별결의문은 거의 만장일치에 가까운 수준으로 반려됐다. 메갈리아에 대한 찬반을 떠나 당내에서 더 이상 서로 가르고 맞서는 식의 논쟁이 아닌 사후 대책 마련 등 생산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한편 심상정 상임대표가 최근 국회 비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제기한 ‘아동·청년·노인 기본소득 도입’에 관한 특별결의문 채택의 건도 일부 수정해 처리됐다. 기본소득에 대해선 당 안팎으로 이견이 많은데다, 당내 의견 교환도 부족한 상황에서 당론처럼 채택되는 것은 섣부르다는 지적이었다. 이에 따라 ‘아동·청년·노인 기본소득 도입’을 ‘아동·청년·노인의 기본적인 소득 보장’으로 수정됐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